맥주공부
-
[Certified Cicerone] 이취 (Off-flavor) (1/4)맥주공부 2021. 1. 2. 23:13
이취의 정의를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간단하게 얘기하면 기대하지 못한 맛이 나면 이취입니다. 맥주에서도 마찬가지로 맥주에서 기대하지 못한 맛이 나게될 경우에는 이취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맥주스타일별로 나지 말아야 하는 맛이 나면 이취라고 합니다. 다시말하면, 어떤 스타일에서는 용인되는 맛이지만 다른 스타일에서는 이취일 수 있습니다. Certified Cicerone에서 이취가 중요한 이유는 Certified Cicerone이 기본적으로 맥주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위치에서의 전문가들을 위한 자격증이기 때문입니다. 제공받은 수제맥주가 잘못 양조되었을 경우에는 양조장에게 클레임을 걸어야 하고, 관리가 잘못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시정할 수 있도..
-
씨써론(Certified Cicerone) 시험 준비하기-9, Beer and Food Pairing맥주공부 2020. 2. 20. 22:32
133. When planning pairings, what should the intensity of a beer be relative to the intensity of the food item it will be paired with? 페어링을 준비할 때, 맥주의 강도가 음식의 강도에 비해 어떠해야 하는가? the intensity of a beer should be similar(equal) 134. What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of beer contribute to its intensity? 맥주의 어떤 특성들이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Alcohol, Malt character, Hop bitterness, Sweetness, Richness, Roastine..
-
씨써론(Certified Cicerone) 공부 - Troubleshooting 실제 사례맥주공부 2019. 9. 6. 11:30
저는 최근에 서울대입구역 근처에서 '복서크랩탭룸'이라는 작은 맥주 가게를 오픈했습니다. (깨알 홍보) 2019.9.6 | 지도 크게 보기 © NAVER Corp. 작년에 씨써론 1단계 Certified Beer Server를 취득하고 2단계 Certified Cicerone을 공부하다가 펍을 열게 되면서 펍 실무를 직접 몸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맥주 케그를 받아서 서빙하는 과정에서 거품이 많이 나오는 문제를 직접 겪으면서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봤었습니다. 직접 경험했던 트러블슈팅 사례를 공유하려 합니다. 우선 설비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가게가 협소하기 때문에 1500(W) x 800(D) x 900(H) 사이즈의 케그레이터에 탭이 2개씩 달린 타워 2개를 설치..
-
씨써론(Certified Cicerone) 공부 - 문제 해결(Trouble Shooting)맥주공부 2019. 8. 31. 01:57
계속해서 씨써론의 Keeping and Serving 관련된 내용입니다. 맛있게 잘 따라진 한 잔의 생맥주는 적절한 온도와 가스 압력, 잘 청소된 시스템의 결과물로 얻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펍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거품이 뿜어져나오는 탭을 보는 순간 마음이 타들어 갑니다...) 맥주가 거품이 너무 많이 나오거나 할 때에 가장 먼저 확인해봐야 하는 것은 온도입니다. 첫 번째로는 케그와 쿨러(케그레이터)의 온도가 이상적인 온도와 다른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공냉식이나 글리콜 냉각 방식일 경우에 faucet에 적절한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beer line을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켜주고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그것으로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생맥주 시스템과 냉각 방식에 따라서 적절한 문제..
-
씨써론(Certified Cicerone) 공부 - 시스템 관리 및 청소맥주공부 2019. 8. 30. 19:25
앞선 포스팅에 이어서 씨써론의 Keeping and Serving 분야에서의 생맥주 시스템 관리 및 청소에 대해서 DBQM의 Chapter 7의 내용을 참고로 정리해보겠습니다. [2주 간격 청소] 1. 케그레이터의 라인 청소 및 서비스 레코드를 명확히 문서화하여 붙여둔다. 2. 따뜻한 물로 맥주를 라인에서 밀어낸다. 3. Caustic solution의 농도를 2%로 하여 청소하고 문제가 있거나 오래된 라인은 3%로 청소한다. 다른 물질을 사용할 경우 제조업자의 권장사항의 농도를 사용합니다. 가장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선, 용액의 온도를 80 - 110℉ (26 - 43℃)로 유지해야 합니다. 4. 전기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caustic solution은 최소한 15분 동안 맥주의 유량을 넘는 수준..
-
씨써론 공부 - 맥주 서빙 전 준비맥주공부 2019. 8. 23. 16:55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씨써론은 브루어리와 고객 사이의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맛있는 맥주를 더 맛있게 서빙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무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펍에서 맥주를 서빙하는 실무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씨써론의 참고자료로 올라와 있는 DBQM(Draught Beer Quality manual)의 Chapter 5 내용입니다. 체크리스트 [Outside the cooler] 1. 안전을 위해 밀폐된 공간에 CO2 탐지기를 설치하고 확인한다. 2. (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 글리콜의 온도를 27 °F ~ 32 °F (-3°C ~ 0°C)로 맞춘다. 3. 가스 실린더의 게이지를 눈으로 확인하여 어느 정도 차 있는지 확인한다. 4. 맥주라인을 7일에서 ..
-
씨써론(Certified Cicerone) 공부 - 효모 (2)맥주공부 2019. 5. 8. 00:55
계속해서 효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역시 출처는 BJCP, Interim Study Guide (https://www.bjcp.org/docs/Interim_Study_Guide.pdf) 입니다. 효모가 맥아즙에 들어간 후는 5 단계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lag phase - growth phase - low kräusen phase - high kräusen phase - late kräusen phase 1. lag phase 이 단계에서 효모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하고 그들이 자라고 맥아즙을 발효할 수 있도록 효소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효소를 만들기 위해 효모는 스스로 갖고 있는 에너지원인 탄화수소 글리코겐(carbohydrate glycogen)을 사용합니다. 효모는 환경에 익숙해지..
-
씨써론(Certified Cicerone) 공부 - 효모 (1)맥주공부 2019. 4. 30. 15:44
맥아에 이어서 효모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JCP에서 나온' BJCP BEER EXAM STUDY GUIDE'의 효모 부분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0. 너의 이름은?? 효모는 영어로 yeast이지만 씨써론은 효모의 학명도 알기를 요구합니다. 대부분의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은 Saccharomyces 종류입니다. 그 중에서도 라거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효모는 S. pastorianus (또는 옛날 용어로 S. carlsbergensis or S. uvarum) 에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효모는 S. cerevisiae라는 학명을 갖고 있습니다. 1. 효모의 특성 1.1 Attenuation : 효모가 맥아즙(wort)의 orginal gravity를 발효과정에서 낮출 수 있는 능력입니..